문국진 (법의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국진은 대한민국의 법의학자이다. 평안남도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사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의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 석사 및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에는 컬럼비아 퍼시픽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진료(過誤)의 법의학》(1970), 《최신법의학》(1980), 《의료의 법이론》(1982), 《생명윤리와 안락사》(1982), 《藥害(원인 의료병리 법률)》(1983) 등이 있으며, 수필집 《지상아》를 1990년에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의학자 - 송자
송자는 남송 시대의 관리이자 법의학자로, 억울한 백성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검시 지침서인 《세원집록》을 저술하여 후대 법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 평양종로보통학교 동문 - 김학철 (1916년)
김학철은 1916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이며, 중국과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문학 활동을 펼쳤다. - 평양종로보통학교 동문 - 채병덕
채병덕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방어 실패의 책임을 지고 해임된 군인이며, 2005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방영주
방영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암 및 초기 임상시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의사, 의학자이다.
문국진 (법의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문국진 |
![]() | |
출생일 | 1925년 3월 9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평양부 |
본관 | 남평(南平) |
국적 | 대한민국 |
정당 | 무소속 |
별명 | 호(號)는 도상(度想)·유남(柳湳)·유포(柳浦) |
배우자 | 이복선 |
자녀 | 1남 2녀 |
웹사이트 | https://www.nas.go.kr/page/6a4fc4c1-f759-4287-94fc-82952b6b0e97?mber_key=10000140&mber_dept_upper_cd=MBER_CL_DEPT_02&mber_dept_cd=MBER_CL_DEPT_12&mber_dept_nm=%EC%A0%9C4%EB%B6%84%EA%B3%BC&select_mber_dept_cd=MBER_CL_DEPT_12 대한민국 학술원 사이트 |
경력 | |
주요 경력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대한법의학회 명예회장 |
학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군 복무 | |
복무 기간 | 1950년 3월 24일 ~ 1957년 3월 28일 |
계급 |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
참전 | 한국 전쟁 |
근무 | 육군 수도사단 육군 제1사단 국립과학수사연구소 |
지휘 | 육군 수도사단 공중보건의(1950.03.~1951.03.) 육군 수도사단 군의무장교(1951.03.~1954.03.) 육군 제1사단 군의무장교(1954.03.~1955.03.)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기술서기관(1955.03.~1957.03.) |
수상 | |
수상 | 대한민국 학술원상 |
공직 이력 1 |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함태영 장면 |
장관 | 백한성 김형근 이익흥 장경근 |
차관 | 김형근 정운갑 김원태 이상룡 |
국가 | 내무부 |
임기 | 1955년 3월 25일 ~ 1957년 3월 25일 |
직책 | 국과수 기술서기관 |
공직 이력 2 |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장면 |
장관 | 장경근 이근직 민병기 김일환 최인규 |
차관 | 이상룡 우만형 김장섭 |
국가 | 내무부 |
임기 | 1957년 3월 25일 ~ 1959년 3월 25일 |
직책 | 국과수 법의관 겸 기술서기관 |
공직 이력 3 | |
대통령 | 박정희 |
총리 | 정일권 국무총리 |
장관 | 이호 박경원 |
차관 | 김상복 박영수 |
국가 | 내무부 |
임기 | 1968년 3월 25일 ~ 1970년 3월 25일 |
직책 | 국과수 중앙법의학국장 |
2. 학력
2. 1. 정규 학력
wikitext연도 | 학교 | 학위 | 전공 |
---|---|---|---|
1944년 | 평양고등보통학교 | 졸업 | - |
1950년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학사 | 임상병리학 |
1962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석사 | 법의학 |
1964년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석사 | 법학 |
1966년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 석사 | 의학 |
1970년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 박사 | 의학 |
2. 2. 명예 학위
3. 저서
(내용 없음)
3. 1. 저술
wikitext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
《진료(過誤)의 법의학》 | 1970 | 중앙의학사 |
《최신법의학》 | 1980 | 일조각 |
《의료의 법이론》 | 1982 | 고대출판부 |
《생명윤리와 안락사》 | 1982 | 중앙의학사 |
《藥害(원인 의료병리 법률)》 | 1983 | 일조각 |
3. 2. 수필
- 《지상아》 (1990년, 청림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